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헬스 케어 분야에 활용되는 IoT기술 정리해보기

by tech블로거 2023. 8. 24.

IoT 기술은 스마트홈 가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산업과 융합되어 활용됩니다. 그중에서 헬스 케어 분야에 활용되는 IoT 기술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은 헬스 케어 분야 내에서 의료기기, 의료기기와 연동되는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등에 적용됩니다.

 

 

헬스 케어 분야에 활용되는 IoT기술 정리해보기

 

헬스 케어 분야에 활용되는 IoT 기술

 

헬스 케어 분야에 활용되는 IoT 기술은 크게 10가지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오픈 APS, CGM 시스템, 의료기록 자동 저장 장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약물 사용 기록 및 저장 장치, 경구 센서, 스마트 컨택트 렌즈, 혈액응고 검사,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우울증 치료, 류머티즘 관절염 질환 증상 완화 측정, 파킨슨병의 경과 모니터링입니다.

 

1) 오픈 APS는 오픈 인공 췌장 시스템이라는 의미로 오픈 프로그램 소스 코드로 인공 췌장 시스템을 이용하여 밤부터 아침 식사 사이에 혈당이 유지되도록 인슐린을 조절하여 제1형 당뇨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입니다.

 

 

 

 

2) CGM 시스템은 Continuous Glocose Monitoring의 약자로 환자의 팔 부위의 피부에 CGM 센서를 이식하여 최대 3개월 동안 환자의 혈당 수치를 충전식 송신기에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환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혈당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3) 의료기록 자동 저장 장치는 환자가 추적장치를 치료하기 일주일 전부터 여러 치료기간 동안 착용하고 있으면서 스마트폰 앱 상에서 자동으로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암이나 심각한 치료를 결정해야 하는 질병 치료 시 사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4)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약물 사용 기록 및 저장 장치는 노바티스 헬스 케어 업체에서 퀄컴 등의 회사와 협력하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을 위해 개발한 기술로 맞춤형 센서를 통해 직접 기록을 입력하고 전송하여 환자와 의사 간에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입니다.

 

5) 경구 센서는 입으로 센서를 삼킬 수 있는 것으로 항정신성 약물이나 고혈약 약물과 같은 지속적으로 복용을 해야 하는 경우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약제가 위에서 녹아 작은 신호를 내보내면 이 신호를 통해 스마트폰 앱에서 전송을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가 약물을 지속적으로 꾸준히 복용하는지 관찰할 수 있습니다.

 

 

 

 

6) 스마트 컨텐트 렌즈는 구글의 스마트렌즈 기술 중 하나인 비 외과적인 내장형 컨택트 렌즈 기술로 인증을 받은 것입니다. 환자의 안구 내 눈물을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정보를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시스템입니다.

 

7) 혈액응고 검사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혈액 응고 속도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항응고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뇌졸중이나 출혈에 대비할 수 있는 기술이며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검사가 가능한 기술입니다.

 

 

 

 

8)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우울증 치료는 애플의 스마트워치 앱을 이용하여 우울증을 가진 환자들의 상태를 30일 동안 체크하면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는 사전 인지기능을 평가한 내용과 실시간으로 환자가 직접 입력한 테스트 결과나 자동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여 비교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9) 류머티즘 관절염 질환 증상 완화 측정은 애플 리서치키트를 이용한 제약회사가 연구하시 시작한 기술로서 300명 넘는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들에게 90일 간 일반적인 증상과 삶의 질에 대해 측정하여 추적 관찰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10) 파킨슨병의 경과 모니터링은 모바일 기기, 센서,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24시간 동안 의사들과 연구자들에게 질병의 증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파킨슨병의 경과와 치료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헬스 케어 분야 내 IoT 기술 적용 시 장점

 

헬스 케어 분야에 IoT 기술을 적용하면 환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 방문을 줄 일 수 있습니다. 이는 비용 절감 및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환자의 상태를 계속해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실시간으로 환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면 질병을 치료할 수 있어 시기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환자의 질병 이력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자동화된 시스템 및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의사결정은 시간적인 비용을 줄이고 오류를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헬스 케어 분야에 IoT 기술로 인해 의약품 개발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정리하면,

 

헬스 케어 분야에 활용되는 IoT 기술은 크게 오픈 APS, CGM 시스템, 의료기록 자동 저장 장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약물 사용 기록 및 저장 장치, 경구 센서, 스마트 컨택트 렌즈, 혈액응고 검사,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우울증 치료, 류머티즘 관절염 질환 증상 완화 측정, 파킨슨병의 경과 모니터링 등이 있습니다.

 

 

 

 

헬스 케어 분야에 IoT 기술을 적용하면 장점은 환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병원 방문을 줄일 수 있고 환자의 건강 및 질병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 가능하여 질병의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질병 등의 이력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의사와 환자 간의 소통을 정확하게 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